데이지헐의 블로그

728x90
반응형
랑과 나의 사막
당대 한국 문학의 가장 현대적이면서도 첨예한 작가들을 선정, 신작 시와 소설을 수록하는 월간 『현대문학』의 특집 지면 〈현대문학 핀 시리즈〉의 마흔세 번째 소설선, 천선란의 『랑과 나의 사막』이 출간되었다. 2022년 『현대문학』 1월호에 발표한 소설을 퇴고해 내놓은 이번 작품은 ‘전쟁의 시대’에 만들어졌다가 기능이 정지된 채 사막에 파묻혀 있던 로봇 ‘고고’에게 생명을 준 인간 ‘랑’이 사망하자, 랑이 가고 싶어 했던 과거로 가는 땅을 찾아 고고가 홀로 길을 떠나는 이야기이다. 2019년, ‘국내 SF 아포칼립스의 정석’이란 극찬을 들은 『무너진 다리』로 혜성처럼 등장한 천선란은 뒤이어 “아름답고 서정적이며, 밀려드는 감정의 파도에 그대로 잠기고 싶은 소설”(김초엽) 여덟 편을 담은 『어떤 물질의 사랑』을 발표하며 빠르게 자신의 문학세계를 독자들에게 각인시켰다. 장르소설 중 손꼽히는 판매고를 기록한 제4회 〈한국과학문학상〉 장편 대상작 『천 개의 파랑』은 “이미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유명 작가의 작품이라 해도 믿을 법했다”(김보영) “더 이상 ‘좋은 한국 SF의 가능성’이란 얘기는 듣지 않아도 되겠다는 생각이 들어 기뻤다”(김창규)라는 찬사까지 이끌어내며 가능성이 아닌, 완성형의 상태로 우리에게 도달한 ‘준비된 작가’라는 평을 얻게 했다. 천선란의 활발한 횡보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밤에 찾아오는 구원자』 『나인』 『노랜드』에까지 계속 됐고, 이제는 더 이상 장르소설의 자장 안에서만 논해지는 것을 거부한 채, 자신의 문학 스펙트럼을 확장시키며 폭넓은 독자들에게 사랑받는 전무후무한 작가가 되었다. 흔히들 SF 소설은 인간을 위협하는 로봇과 외계인이 등장하고, 우주 세계 어딘가가 배경이고, 다루는 세계관마저 낯설어 순문학 독자들이 읽어내기에는 장벽이 있다고들 말한다. 천선란의 소설 역시 무수한 로봇이 등장하고, 외계인이 등장하고, 배경 또한 낯설지만 기존의 선입견을 넘어선 결과를 내고 있다. 이상하리만치 그의 소설은 잘 읽히고, 게다 뭉클하다.
저자
천선란
출판
현대문학
출판일
2022.10.25

 
 
읽은 후 먹먹하고 외로움을 느껴 블로그에 정리하기까지 2주 정도 걸렸다.
지구가 사막화되며 인구 대부분이 사라졌다. 고고라는 로봇은 자신의 주인이자 친구였던 랑이 죽자 과거의 땅이 있다는 곳으로 떠난다. 여정 내내 랑과의 기억을 떠올리며 본인 만의 방식으로 애도하는 이야기의 짧은 소설잭이다. 
 
“단 하나였던 삶의 목적을 잃은 후에도 계속 살아가야 하는 것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지구의 환경조차도 삶에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는 고고에게는 랑이 세상의 전부였고, 랑이 고고에게 다음 목적을 만들어주지 않고 떠난 탓에 고고는 덩그러니 있습니다. 아무것도 하지 않는, 그대로 툭 놓인 상태의 덩그러니. 그렇게 삶의 선택지가 랑 하나였던 고고는 결국 또다시 랑을 자신의 유일한 목적으로 둡니다. 그렇게 여정을 떠난 고고에게 랑이 아닌, 고고의 목적을 만들어주고 싶었습니다.”(-천선란, 〈작가의 말〉 중에서)
 
왜 그렇게 먹먹해졌을까. 사랑하는 이를 잃은 마음이 무엇일까 생각하며 비통했던 것 같다. 읽고나서 애기처럼 새근새근 자는 광호를 오래 바라보며 슬퍼했다. 사랑하는 사람들과 나 자신의 죽음을 생각하다가 미래의 슬픔이 물밀려 들어왔다. 나는 너 그리고 가족의 부재를 받아들일 수 있을까. 살아가는 이유가 내게는 그리 많지 않다. 삶에 열정적이지도, 자의식이 강하지도 않다. 정말 소수의 사람들이 의미가 되어주는데. 죽음을 생각해서 더 애틋해지고 싶지는 않다. 정말 그런 이별은 없다 믿으며 이 순간이 오래오래 지속되면 좋겠는데. 
 
이 책을 읽고 나서 랑처럼 명랑하고 넉넉한 사랑을, 고고처럼 맹목적인 사랑을 해야겠다는 생각을 많이 했다. 미래의 이별을 앞서 애도받은 느낌이다. 또한 사랑하는 이의 죽음 후 남은 자들에게 진심의 애도를 전할 마음이 내 안에 피어났다. 
 
이 책과 함께 비슷한 결을 지닌 김초엽 작가님의 [수브다니의 여름휴가]을 추천한다.   


 
"너는 모든 날들을 사진처럼 다 떠올리는거지? 어떤 왜곡도 없이."
고개를 끄덕였다.
"좋네. 그건 정말 부러워."
"인간은 어떤 식으로 떠올리지?"
"슬픈 것부터."
한 글자씩 혀로 뭉개는 듯한 느린 말투.
"내가 잘못했던 것들을, 내 마음을 아프게 하는 상대방의 모습을."
 
'마음에 드는 걸 골라.' (...)나는 랑의 작은 손바닥에 놓여 있는 두 개의 조개껍질을 내려다보며, 여태껏 들어왔던 말 중 가장 난해하고 어려운 그 질문을 곱씹었다. (...)
'마음은 중요해.' 랑의 말에 나는 마음이 없다고 대답했고, 랑은 아니라고 고개를 저었다.
'마음은 목적이야. 네 목적에 가장 빨리 닿으려고 애쓰는 게 마음이야.'
내게는 랑을 행복하게 해줘야 한다는 목적이 있다. 행복을 웃음과 편안함과 숙면 정도로만 추측할 수 있으면서 감히 그런 목적을 가지고 있다. 고로 마음에 드는 걸 가지라던 랑의 질문에 대한 옳은 선택은 내 목적을 이루기 위한 선택이었으면 된다는, 너무 뒤늦게 해결책을 찾았다. 조개껍질 두 개, 전부 랑에게 주었으면 됐다. 
 
싱그럽던 랑의 움직임이 이 사막 어디에도 없다는 것이, 기다려도 만날 수 없다는 것이, 이 이상함을 계속 이상한 채로 품어야 한다는 것까지 전부 끈적이게 등에 달라붙는다. 낯선 감각이 든다. 이를테면 가슴판을 열어 속을 헤집고 싶다는 충동. 형용할 수 없는 응어리가 오색 빛깔로 내 속을 휘젓고 다니는 것만 같다. 
 
이곳은 증명된 것 하나 없는 낭설의 땅. 오직 인간의 헛된 희망으로 만들어졌을 확률이 더 높은 땅. 하지만 알면서도, 돌아가는 것이 합리적인 걸 알면서도, 랑을 만날 수 없다는 걸 알면서도, 정말이지 다 알면서도 합리성을 거부하며 랑을 다시 만날 수 있을 거란 0.01 퍼센트의 확률을 따르고 싶다. 그러니까 인간에게 0.01 퍼센트는 불가능의 수치와 맞먹는 것일지라도 내게 그 숫자는 '존재한다'이다. 불가능과 가능의 기준이 아니라 존재의 유무이므로, 존재할 확률이 랑의 머리카락 한 개만큼이라도 있다면 그것은 내게 있는 것이므로 나는 한 점으로도 남지 않은 새를 쫓던 눈을 거두고 검은 벽을 향해, 폭풍이 있는 방향으로 걷는다. 
 
랑을 다시 만나면 이야기해주고 싶다. 내가 만난 사막에 대해. 너를 만나기 위해 걸어온 나의 사막에 대해. 그렇게 늙어가는 랑의 곁에서, 조금씩 망가져 가는 내 몸으로 이야기하겠지. 나쁘지 않다고 생각한다. 비로소 랑과 시간이 맞는 것 같다는 착각을 한다. 이번에는 너와 함께 늙어갈 수 있겠다는 헛된 희망을 품고 랑을 떠올리며, 더 깊은 어둠으로 내려간다. 간절하게. 
 
 
 


데이지
오마이라이프 인스타그램 | 북스타그램 | 유튜브
daisy@ohmylife.co.kr

반응형